세대갈등2 월급루팡 : 근무 시간에 업무를 소홀히 하면서도 급여를 수령하는 행위를 의미 월급루팡의 개념적 정의와 어원적 기반월급루팡은 "월급"과 프랑스 소설 속 괴도 캐릭터 "아르센 뤼팽(Arsène Lupin)"의 합성어로, 근무 시간에 업무를 소홀히 하면서도 급여를 수령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2010년대 초반 한국 직장 문화에서 등장한 신조어로, 기존의 "월급 도둑"이라는 표현보다 유머와 풍자를 담아 상대를 비판하는 데 사용된다. 뤼팽이 교묘한 절도 기술로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이미지와 결합되면서, "정당한 노동 대가를 받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직장인들의 자조적 표현으로 확산되었다. 특히 20~30대 여성 직장인층에서 주로 사용되며, "루팡"의 귀여운 어감이 부정적 의미를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단순한 태만이 아닌 조직 내 업무 배분의 불균형이나 과도한 업무 강도에 .. 2025. 6. 15. 설늙은이 : 아직 완전히 늙지 않은 상태, "나이는 그다지 많지 않지만 기질이 노쇠한 사람" 어원과 기본적 정의'설늙은이'는 '늙다'의 어근에 접두사 '설-'이 결합된 합성어로, 문자 그대로 '아직 완전히 늙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나이는 그다지 많지 않지만 기질이 노쇠한 사람"으로 정의하며, 주로 중년층을 지칭할 때 사용된다. 이 용어는 신체적 연령보다 정신적·육체적 노쇠함을 강조하는데, '설-' 접두사가 '아직 완전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고유어적 특성을 반영한다.사회문화적 사용 맥락계절적 비유와 속담'설늙은이'는 봄철 추위를 묘사하는 속담에서 빈번히 등장한다. "꽃샘잎샘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는 표현은 음력 3~4월의 꽃샘추위가 중년층조차 견디기 어려울 정도로 혹독함을 강조한다. 이는 자연 현상을 인간의 생애주기와 결합한 은유로, 계절의 변화가 신체적 약화를 겪는 .. 2025. 6.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