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법3 월급루팡 : 근무 시간에 업무를 소홀히 하면서도 급여를 수령하는 행위를 의미 월급루팡의 개념적 정의와 어원적 기반월급루팡은 "월급"과 프랑스 소설 속 괴도 캐릭터 "아르센 뤼팽(Arsène Lupin)"의 합성어로, 근무 시간에 업무를 소홀히 하면서도 급여를 수령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2010년대 초반 한국 직장 문화에서 등장한 신조어로, 기존의 "월급 도둑"이라는 표현보다 유머와 풍자를 담아 상대를 비판하는 데 사용된다. 뤼팽이 교묘한 절도 기술로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이미지와 결합되면서, "정당한 노동 대가를 받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직장인들의 자조적 표현으로 확산되었다. 특히 20~30대 여성 직장인층에서 주로 사용되며, "루팡"의 귀여운 어감이 부정적 의미를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단순한 태만이 아닌 조직 내 업무 배분의 불균형이나 과도한 업무 강도에 .. 2025. 6. 15. 통상임금 뜻 :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지급받는 임금 통상임금은 근로자가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지급받는 임금을 의미하며, 노동법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뤄집니다. 이는 노동자의 초과근무수당, 연차수당, 퇴직금 등을 계산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노동자와 고용주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사안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통상임금의 정의와 구성 요소, 관련 쟁점, 주요 판례, 그리고 이를 둘러싼 논란과 해결 방안을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통상임금이란 무엇인가?기본 정의정기성: 통상임금은 일정한 주기(예: 월간, 주간)로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금액을 포함합니다.일률성: 모든 근로자에게 동일한 기준으로 지급되는 금액이어야 합니다.고정성: 근로자가 제공하는 노동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금액이어야 합니다.법적 근거근로기준법: 대한민국 근로기준법은 통상임금을 초과근무수당, 휴일근무수당 .. 2025. 1. 2. 생디카트 (Syndicat) – 노동자의 권익을 위한 노동조합 생디카트(Syndicat)는 프랑스어로 노동조합(Union)을 의미하며, 노동자들이 자신의 권익을 보호하고 집단적인 힘을 행사하기 위해 결성한 조직입니다. 생디카트는 노동 조건 개선, 임금 인상, 사회적 불평등 해소를 목표로 활동하며, 파업, 교섭, 집회 등을 통해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합니다.노동조합은 19세기 산업화 시대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했으며, 현대 사회에서도 근로자의 권익 보호와 노동 환경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생디카트의 개념과 특징1. 노동자의 단결과 집단적 협상생디카트는 개별 노동자의 힘이 약하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직된 집단입니다.단체 교섭권을 통해 사용자와 협상하며, 근로 조건 개선과 임금 인상을 요구합니다.2. 파업과 집회 활동노동조합은 파업과 집회를 통해 사용자나.. 2024. 10.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