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병인양요: 조선과 프랑스의 첫 충돌

by jisik1spoon 2024. 12. 29.

병인양요는 1866년(고종 3년) 프랑스가 조선을 침략한 사건으로, 조선의 천주교 박해를 구실로 삼았습니다. 이 사건은 조선과 서구 열강 간의 첫 무력 충돌로 기록되며, 조선의 쇄국 정책을 더욱 강화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병인양요의 배경

천주교 박해와 프랑스의 반응

  • 병인박해의 시작: 1866년, 흥선대원군은 천주교를 탄압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결과 프랑스 선교사 9명을 포함한 수천 명의 신자가 처형되었습니다.
  • 프랑스의 대응: 프랑스는 자국 선교사들의 처형에 반발하여 극동 함대를 조선에 파견하였습니다.

러시아의 남하와 조선의 대응

  • 러시아의 위협: 19세기 중반, 러시아의 남하 정책으로 인해 조선은 국방에 대한 위기감을 느꼈습니다.
  • 프랑스와의 연대 시도: 일부 조선 관리들은 프랑스와의 동맹을 통해 러시아의 위협에 대응하려 했으나, 이는 실현되지 않았습니다.

프랑스의 조선 침공

한강 진입과 정찰

  • 프랑스 함대의 접근: 1866년 10월, 프랑스 함대는 한강을 거슬러 올라와 양화진과 서강 일대까지 진출하였습니다.
  • 조선의 대응: 조선 정부는 어영대장 이용희를 파견하여 한강 연안의 경비를 강화하였습니다.

강화도 점령

  • 프랑스군의 상륙: 프랑스군은 강화도에 상륙하여 갑곶진을 점령하고, 한강 수로를 봉쇄하였습니다.
  • 문화재 약탈: 프랑스군은 외규장각의 서적과 국왕의 인장 등을 약탈하였습니다.

조선의 저항과 프랑스의 퇴각

조선군의 반격

  • 양헌수의 활약: 조선군은 양헌수 장군의 지휘 아래 정족산성에서 프랑스군을 격퇴하였습니다.
  • 프랑스군의 피해: 프랑스군은 조선군의 저항에 부딪혀 상당한 피해를 입었습니다.

프랑스의 철수

  • 퇴각 결정: 프랑스군은 조선의 강한 저항과 보급 문제로 인해 철수를 결정하였습니다.
  • 강화도 파괴: 철수하면서 프랑스군은 강화읍을 파괴하고 방화하였습니다.

병인양요의 영향

조선의 쇄국 정책 강화

  • 외세에 대한 경계심 증대: 병인양요 이후 조선은 서구 열강에 대한 경계심을 더욱 강화하였습니다.
  • 쇄국 정책의 지속: 조선은 문호 개방을 거부하고, 외세의 침략에 대비한 국방 강화를 추진하였습니다.

문화재 약탈과 그 후

  • 외규장각 도서의 약탈: 프랑스군이 약탈한 외규장각 도서는 이후에도 반환되지 않아 문화재 손실로 이어졌습니다.
  • 문화재 반환 논의: 최근까지도 외규장각 도서의 반환을 위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결론

병인양요는 조선과 프랑스 간의 첫 무력 충돌로, 조선의 쇄국 정책을 더욱 강화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외세의 침략에 대한 조선의 대응과 그 한계를 보여주며, 이후의 역사적 사건들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제너럴 셔먼 호 사건: 조선과 서구의 충돌

운요호 사건: 근대사의 전환점을 만든 사건

강화도 조약: 조선과 일본의 첫 근대적 조약, 그 역사적 의미